728x90
반응형
문)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1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다. (1 ≤ X ≤ 100,000)
- 2: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 3: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4: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5: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입) 첫째 줄에 명령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둘째 줄부터 N개 줄에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은 하나 이상 주어진다.
간단한 스택 문제이나... 문제는 시간 초과.
시간 초과 풀이1, Scanner + println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Stack stack = new Stack<>();
ArrayList arr = new ArrayList();
while(n != 0) {
int put = sc.nextInt();
switch (put) {
case 1:
int x = sc.nextInt();
stack.push(x);
break;
case 2:
if(stack.isEmpty()) arr.add(-1);
else {arr.add(stack.lastElement()); stack.pop();}
break;
case 3:
arr.add(stack.size());
break;
case 4:
if(stack.isEmpty()) arr.add(1);
else arr.add(0);
break;
case 5:
if(stack.isEmpty()) arr.add(-1);
else arr.add(stack.lastElement());
break;
}
n--;
}
sc.close();
for(Object a : arr) {
System.out.println(a);
}
}
}
로직은 맞는데 대체 왜 시간 초과가 되는 거야~
고통 받으면서 bufferedReader 꾸역꾸역 써봤다.
시간 초과 풀이2, BufferedReader + println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ArrayList<Integer> arr = new ArrayList();
while(n != 0)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f(st.hasMoreTokens()) {
int pu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witch (put) {
case 1: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tack.push(x);
break;
case 2:
if(stack.isEmpty()) arr.add(-1);
else {arr.add(stack.lastElement()); stack.pop();}
break;
case 3:
arr.add(stack.size());
break;
case 4:
if(stack.isEmpty()) arr.add(1);
else arr.add(0);
break;
case 5:
if(stack.isEmpty()) arr.add(-1);
else arr.add(stack.lastElement());
break;
}
}
n--;
}
for(Object a : arr) {
System.out.println(a);
}
}
}
이쯤 되니까 좀 화도 나고 더 줄일 거 없는 지 보게 됨.
가만 보니까 bufferedWriter, arraylist로 모아서 출력하는 걸 대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 사실 10828번 문제 검색해 보다가 StringBuffer 쓰신 거 보면서 힌트 얻음.
println 항상 느린데 BW 쓰면 빠른 입출력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음.
드디어 성공! 필승 br + bw 조합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while(n != 0)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if(st.hasMoreTokens()) {
int pu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witch (put) {
case 1:
int x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tack.push(x);
break;
case 2:
if(stack.isEmpty()) bw.write(-1 + "\n");
else {bw.write(stack.lastElement() + "\n"); stack.pop();}
break;
case 3:
bw.write(stack.size() + "\n");
break;
case 4:
if(stack.isEmpty()) bw.write(1 + "\n");
else bw.write(0 + "\n");
break;
case 5:
if(stack.isEmpty()) bw.write(-1 + "\n");
else bw.write(stack.lastElement() + "\n");
break;
}
}
n--;
}
br.close();
bw.flush();
bw.close();
}
}
주의할 점은~ bw의 경우 개행문자를 꼭 넣어줘야 한다는 것과 flush후 close 필수.
시간제한있는 줄 모르고 막 풀었다가 한참 헤맸다.
흑, 한 번할 때 온전히 행하자.
기왕 푸는 거 메모리나 시간 제한 의식하면서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 즐겨쓰기로...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DP - 11053번,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다른 풀이 봄) (1) | 2023.10.04 |
---|---|
[백준] DP - 2156번, 포도주 시식 (다른 풀이 봄) (0) | 2023.10.03 |
[백준] DP - 9465번, 스티커 (다른 풀이 봄) (1) | 2023.10.01 |
[백준] DP - 2193번, 이친수 (0) | 2023.09.23 |
[백준] DP - 10844번, 쉬운 계단 수 (답지 봄)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