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공부 목표
DP - 1463, 11726, 11727, 9095, 10844, 11057, 2193, 9465, 2156, 11053, 11055, 11722, 11054, 1912, 2579, 1699, 2133, 9461, 2225, 2011, 11052
문) 45656이란 수를 보자.
이 수는 인접한 모든 자리의 차이가 1이다. 이런 수를 계단 수라고 한다.
N이 주어질 때, 길이가 N인 계단 수가 총 몇 개 있는지 구해보자. 0으로 시작하는 수는 계단수가 아니다.
입)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 첫째 줄에 정답을 1,000,000,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풀이
1. 테이블 정의
- 길이가 N인 계단수를 구하고, 1,000,000,000으로 나눈 나머지 출력
2. 점화식 - 이차원 배열!
- D[i][j] - i는 자릿수, j는 자릿값(0 < i < N, 0 <= j < 10)
- i=1, x... 1 2 3 4 5~ 한 자릿수는 경우의 수가 1밖에 없다.
- i=2, 2x... 자릿값이 0과 9인 경우와 아닌 경우로 나누어 봐야 함.
- (예외)11 / 98 : 자릿값이 0 또는 9인 경우 각각 1 또는 8 밖에 못 온다.
- D[i][0] = D[j-1][1] 혹은 D[j][9]=D[i-1][8]
- 1개씩 밖에 경우의 수가 없음.
- (보편)10 12 21 23 32 34~
- D[i][j] = D[i-1][j-1] + D[i-1][j+1]
- 그외는 2개씩 경우의 수가 있음.
3. 초기값 : D[1][i] = 1;
코드
Scanner + Bottom-Up(반복문) 방식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System.out.println(fn(N));
sc.close();
}
static long fn(int n) {
final long mod = 1000000000;
long D[][] = new long[n+1][10];
for(int i=1; i<10; i++) {
D[1][i] = 1;
}
for(int i=2; i<=n; i++) {
for(int j=0; j<10; j++) {
if(j==0) D[i][0] = D[i-1][1] % mod;
else if (j==9) D[i][9] = D[i-1][8] % mod;
else {
D[i][j] = (D[i-1][j-1] + D[i-1][j+1]) % mod;
}
}
}
long result = 0;
for(int i=0; i<10; i++) {
result = (result + D[n][i]) % mod;
}
return result;
}
}
다음엔 재귀를 활용한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에서도 bufferedReader를 써봐야겠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DP - 9465번, 스티커 (다른 풀이 봄) (1) | 2023.10.01 |
---|---|
[백준] DP - 2193번, 이친수 (0) | 2023.09.23 |
[백준] DP - 9095번, 1, 2, 3 더하기 (0) | 2023.06.22 |
[백준] 11727번, 2xn 타일링2 (0) | 2023.06.21 |
[백준] DP - 11726번, 2xn 타일링(점화식 도움)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