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백준] DP - 9465번, 스티커 (다른 풀이 봄)

2023. 10. 1. 00:57
728x90
반응형

* 공부 목표

DP - 1463, 11726, 11727, 9095, 10844, 11057, 2193, 9465, 2156, 11053, 11055, 11722, 11054, 1912, 2579, 1699, 2133, 9461, 2225, 2011, 11052

 

문) 2행 n열로 배치된 스티커, 각 스티커마다 점수가 있음. 뗄 수 있는 스티커 합의 최대를 구하라. 단, 한 스티커를 떼면 주변에 붙어있는 스티커들은 망가져 사용할 수 없다.

입)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두 줄에는 n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각 정수는 그 위치에 해당하는 스티커의 점수이다. 연속하는 두 정수 사이에는 빈 칸이 하나 있다. 점수는 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풀이

1. 테이블 정의

  • 2*n열의 테이블, 각 2차원 배열에 해당하는 값도 입력받음
  • 점수 합이 최댓값이면서 서로 변을 공유하지 않는 스티커 집합

2. 점화식 정의

  • D[0][j] = Math.max(D[1][j-1], D[1][j-2]) + D[0][j]
  • D[1][j] = Math.max(D[0][j-1], D[0][j-2]) + D[1][j]

이 점화식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1) 입력 받은 sticker의 점수 배열
2) dp 배열을 구분하여
▶ dp배열에 sticker 점수 누적을 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점수 누적하는 방법이 중요하고, 그게 바로 이 문제의 핵인 점화식이 될 것이다.

진출방향 어쩌고는 그냥 참고사항이다.

현재 위치에 영향 주는 건, 이전 항목이다.

이전 항목이 될 수 있는 건 <한 칸 뒤> 혹은 <두 칸 뒤> 대각선에 있던 항목이다.

현재 위치 = 현재 위치 값 + 이전 값 중 더 큰 값
  • D[0][j] = Math.max(D[1][j-1], D[1][j-2]) + D[0][j]

고로 이런 점화식이 나오게 된다.

 

 

3. 초기값 정의

  • D[0][1] = D[0][1]
  • D[1][1] = D[1][1]

n=1일 때, D[0][1] 그리고 D[1][1]은 선택할 수 있는 최댓값이 자기 자신 밖에 없다.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num_946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T = sc.nextInt(); //반복 횟수
        for(int k=0; k<T; k++) {
            int n = sc.nextInt(); //열 갯수
            int d[][] = new int[2][n+1];
            int sticker[][] = new int[2][n+1];

            //2차원 배열 채워넣기
            for(int i=0; i<2; i++) {
                for(int j=1; j<n+1; j++) {
                    sticker[i][j] = sc.nextInt();
                }
            }
            //초기값
            d[0][1] = sticker[0][1];
            d[1][1] = sticker[1][1];

            for(int j=2; j<n+1; j++) {
                d[0][j]=Math.max(d[1][j-1], d[1][j-2]) + sticker[0][j];
                d[1][j]=Math.max(d[0][j-1], d[0][j-2]) + sticker[1][j];
            }
            System.out.println(Math.max(d[0][n], d[1][n]));
        }
        sc.close();
    }
}

 

** 잠깐! 열 값이 시작이 2인 이유?

(이건 뇌피셜 설명이고, 정확하지 않으니 참고만 해주세요)

1열 이상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1 index 오류가 나기 때문이고

2열 이상부터 시작하는 이유는, 1열에 해당하는 초기값은 정의되어있기 때문.


처음 문제를 보고 <안 되는 경우의 수>를 생각했다.

가령 코너 4개는 안 되는 게 2개고,

나머지는 좌우 위 또는 아래 이렇게 3개라는... 사실상 전혀 풀이에 도움 안 되는 생각 말이다.

 

DP의 본질에 집중하고,

순차적으로 진행해나가는 코드를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새창열림)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DP - 2156번, 포도주 시식 (다른 풀이 봄)  (0) 2023.10.03
[백준] 스택 - 28278번, 스택2  (0) 2023.10.01
[백준] DP - 2193번, 이친수  (0) 2023.09.23
[백준] DP - 10844번, 쉬운 계단 수 (답지 봄)  (0) 2023.09.22
[백준] DP - 9095번, 1, 2, 3 더하기  (0) 2023.06.22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DP - 2156번, 포도주 시식 (다른 풀이 봄)
  • [백준] 스택 - 28278번, 스택2
  • [백준] DP - 2193번, 이친수
  • [백준] DP - 10844번, 쉬운 계단 수 (답지 봄)
hatch
hatch
250x250
hatch
차근차근 쌓아올리는,
hatch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21)
    • TIL (3)
    • [JAVA] (17)
      • 생활코딩 (11)
    • 모바일 (25)
      • android (24)
      • ReactNative (1)
    • 웹개발 (25)
      • React (3)
      • jQuery (5)
      • Springboot (2)
    • 알고리즘 (42)
    • [프로그래밍기초지식] (1)
    • [기술문서 읽기] (0)
      • 개념 번역 (0)
    • 인사이트(insight) (2)
    • git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write
  • manger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jquery
  • 노이클립스
  • 깊은복사
  • 백준
  • DP
  • 재귀
  • 중복리니어레이아웃
  • 모프2주차
  • 별찍기
  • TIL
  • 타일링
  • 명시적 인텐트
  • javascript
  • BufferedReader
  • 안드로이드프로그래밍6판
  • Doit!자바프로그래밍입문
  • 반복문
  • 210908
  • scanf
  • state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hatch
[백준] DP - 9465번, 스티커 (다른 풀이 봄)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