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_기초] 참고: xml 문서 작성방법
1. 하나의 xml 문서는 여러가지 태그들이 이끄는 요소들의 집합.
2-1. 각각의 태그는 어떻게 구성이 되는가?
1) 작성형태 : <xxx> ~body~</xxx>
(<시작태그> ~몸체~ </종료태그> )
2) 다양한 속성 적용 가능, <xxx (속성)> 이렇게 작성함.
(예) <LinearLayout .. 속성 ..> ~body~ </LinearLayout>
3) 몸체 내용이 2개 이상이라면 속성 부분에 orientation 추가해줘야 함(컨텐츠 정렬에 관한 부분).
몸체에 들어갈 내용이 없다면 닫는 태그 없이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도 함.
(예) <Edit .. 속성 .. /> - 시작태그에서 슬래시하고 닫음.
2-2. 예시
<Linear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 ~몸체~
</LinearLayout>
1) 시작태그, <LinearLayout ..속성..>
- 안드로이드 모든 요소가 꼭 가져야 할, 지정된 속성(필수필수).
2) 직관적 설명 : 배치 관리자 LinearLayout에 몸체(button, edit.. 등)가 포함되어 있다.
3. 별도의 리소스를 다른 xml 문서에서 가리켜서 사용하기
<Button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id="@+id/button1"
android:text="@string/strBtn1"/>
1) @string/strBtn1 만 하면 오류.
a. values - strings.xml 에서 string 정의 해주어야 함.
(예) <string name = "strBtn1">버튼입니다.</string>
b. 실행했을 때, 정의한 값(몸체 내용)이 출력됨.
>> 일반적으로 string 등 기타 모든 리소스를 독립적으로 정의하여 사용함.
수정 용이, 효과적인 관리 가능.
cf. id, 식별자
참고글: 2021.08.14 - [android] - [Android_기초] wrap_content, match_parent 차이와 id 정의
[Android_기초] wrap_content, match_parent 차이와 id 정의
#210814#안드로이드스튜디오#앱제작 1. 오늘 학습한 내용 1) .xml : 화면을 꾸미는, 정적인 / .java : 내부 활동, 동적인 2) wrap_content / match_parent 차이점 a. wrap_content : 폭과 높이가 내용에 꼭..
yy-eu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