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백준] 큐 - 18258번

hatch 2023. 10. 18. 22:48
728x90
반응형

문)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풀이

논리는 단순하다 입력받고, switch문에 따라 해당되는 조건을 실행하면 됨.

다만, 자바 Queue에는 back연산이 없다는 것이 문제이다.

 

원형 큐 형식을 취할 수도 있겠지만... 이번에는 변수 선언을 통해 back연산 실행 내용을 충족시켜주었다.

push 연산을 할 때마다 last 변수에 저장을 해두고 back 연산에는 last를 출력하면 된다.

코드

시간초과(Scanner + BufferedWriter) ❌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n = sc.nextInt();

        Queue q = new LinkedList();
        int last = 0;

        for(int i=0; i<n; i++) {
            String a = sc.next();
            switch (a) {
                case "push":
                    int num = sc.nextInt(); last = num;
                    q.add(num); break;
                case "pop":
                    if(q.size()<1) bw.write(-1 + "\n");
                    else bw.write(q.poll()+ "\n");
                    break;
                case "size":
                    bw.write(q.size()+ "\n"); break;
                case "empty":
                    if(q.size()<1) bw.write(1+ "\n");
                    else bw.write(0+ "\n");
                    break;
                case "front":
                    if(q.size()<1) bw.write(-1+ "\n");
                    else bw.write(q.peek()+ "\n");
                    break;
                case "back":
                    if(q.size()<1) bw.write(-1+ "\n");
                    else bw.write(last + "\n");
            }
        }
        bw.flush();
        bw.close();
    }
}

 

통과(BufferedReader+BufferedWriter) ✅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Queue q = new LinkedList();
        int last = 0;

        StringTokenizer st;
        for(int i=0; i<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String a = st.nextToken();
            switch (a) {
                case "push":
                    int nu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ast = num;
                    q.add(num); break;
                case "pop":
                    if(q.size()<1) bw.write(-1 + "\n");
                    else bw.write(q.poll()+ "\n");
                    break;
                case "size":
                    bw.write(q.size()+ "\n"); break;
                case "empty":
                    if(q.size()<1) bw.write(1+ "\n");
                    else bw.write(0+ "\n");
                    break;
                case "front":
                    if(q.size()<1) bw.write(-1+ "\n");
                    else bw.write(q.peek()+ "\n");
                    break;
                case "back":
                    if(q.size()<1) bw.write(-1+ "\n");
                    else bw.write(last + "\n");
            }
        }
        br.close();
        bw.flush();
        bw.close();
    }
}

 


 

자바 Queue 에는 back 연산이 없기 때문에 직접 구현해야한다는 점을 새로 배웠고,

메모리 등을 고려하면 br+bw 조합을 무조건 써야한다는 것을 다시 상고하게 됐다.

 

[참고] https://velog.io/@minuk1236/TIL-3-자료구조-큐-덱